본문 바로가기
건강한 일상

구기자 효능과 부작용 알아보자

by 문화적생활 2022. 3. 29.

진시황이 주목한 열매는 무엇일까요. 네 바로 구기자입니다. 그렇다면 왜 주목한 것일까요. 바로 구기나 효능 때문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구기자는 하수오와 인삼과 함께 3대 명약으로 불린다고 합니다. 진시황 하면 불로장생의 대명사로 알고 있는데, 그만큼 건강에 좋다는 방증 아닐까 싶습니다. 또한 미란다커 역시 다이어트를 위해 즐겨 먹는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구기자 효능 그리고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구기자 효능

일단 구기자 뜻부터 알고 가도록 합시다. 구기자는 가시가 헛개나무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와 유사하게 생겨서 두 나무를 합쳐서 구기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구기자 언제 어떻게 먹으면 좋을까요. 1월에 뿌리를 캐서 2월에 그 뿌리를 달여 먹고, 또 3월에는 줄기를 잘라서 다음 달 4월에는 줄기를 달여 먹습니다.

 

또 5월에는 잎을 따서 다음 달인 6월에 그 잎차로 차를 끓여 마십니다. 7월에는 꽃이 피니까 꽃을 따서 8월에 꽃을 달여 먹고 9월에는 구기자 과실을 따서 가을에 먹게 됩니다. 보시면 이렇게 구기자는 1년 열두달 내내 먹을 수 있는 열매로 예로부터 옛 사람들에게 많은 관심을 받았던 열매라고 합니다. 

 

구기자는 비타민C와 비타민A가 풍부한데요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때문에 면역력을 높여주는 효능이 있으며, 피부의 콜라겐 손상을 막아주는 데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구기자 추출물은 항암효능이 있다고 하는데요, 암세포가 성장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암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구기자를 투여한 사람은 면역요법만 받은 이들 대비 암이 퇴행되는 비율이 약 25% 정도 높은 것으로 밝혀지는 결과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구기자는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연구에서 보여지고 있습니다. 

 

구기자 열매는 노화와 연관되어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특히 눈 질환도 예방효과가 있습니다. 황반 변성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 및 시력을 유지하고 눈이 손상되었을 때 회복율을 높여줍니다. 또한 혈당 조절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며 식욕을 조절하고 체중 관리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구기자 효능 부작용

 

구기자 부작용

구기자는 보통 말려서 구기자차로 마시거나 구기자 분말(가루)을 물 혹은 요거트 등에 섞어서 먹으면 좋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구기자 효능이 뛰어난데 부작용이 있을지 궁금한데요, 구기자를 과다 복용시에는 혈당이 떨어지고 복통이나 설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또한 현재 개인적 질병 치료를 위해 복용하고 있는 약이나 약물이 있다면 전문 담당의사와 상담을 한 후에 구기자를 먹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구기자차의 하루 적당 섭취량은 1일에 세잔 정도라고 합니다. 구기자 가루의 하루 적당량은 1일에 서너스푼 정도라고 하니까 꼭 적정량을 섭취해서 부작용을 예방하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댓글